깃허브에 올리고 보니 한글 주석들이 다 깨져있다...

이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보니 인코딩이 ANSI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

인코딩이 utf-8로 되어 있어야 한글이 제대로 보이는데 인코딩 문제로 생각되어 다시 설정해주기로!!
나는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해결했다.
1. 기존 파일 인코딩 변경
변경하고자 하는 파일 선택 후, 파일 -> 다른 이름으로 저장 을 통해 그 파일의 인코딩을 저장할 수 있다.


저장 시 인코딩하여 저장 옵션이 있고,

여기서 유니코드(utf-8)로 설정하여 저장을 해 주면...

다음과 같이 한글 주석이 깨지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!
2. editorconfig 파일을 이용해 새 파일 생성 시 utf-8로 생성하도록 설정
이미 만들어진 기존 파일은 위와 같이 직접 변경할 수 밖에 없었지만... 앞으로 파일 생성시에도 utf-8로 생성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이를 위해서 editorconfig 파일을 이용한다. 방법은 간단하다!
editorconfig란?
코딩 스타일을 일관되게 설정할 수 있게 해주는 설정파일이다. 이를 통해 indentation(들여쓰기) 스타일과 같은 다를 수 있는 설정들을 미리 지정해 둘 수 있다.
프로젝트 내부에 .editorconfig 파일을 생성하고, 내용은 다음의 코드를 붙여넣는다.

root = true
[*]
charset = utf-8
이제 새로운 파일을 만들었을 때 인코딩 설정을 보면,

다음과 같이 utf-8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

+ 만약 특정 파일 포맷만 utf-8로 설정하고 싶다고 한다면
[*.{cpp}]
charset = utf-8
와 같이 작성하여 .cpp의 확장자를 가진 cpp파일만 utf-8로 생성하도록 설정해줄 수도 있다.
참고 : editorconfig.org/
docs.microsoft.com/ko-kr/visualstudio/ide/create-portable-custom-editor-options?view=vs-2019
'TIPS - 내가 보려고 기록하는 팁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ignore.io로 간편하게 gitignore 파일 설정하기 (0) | 2021.04.21 |
---|---|
[Visual Studio] 파일 로드 에러, 한국어 인코딩으로 로드하는 동안 일부 바이트가 유니코드 대체 문자로 바뀌었습니다. (0) | 2021.04.20 |
[Visual Studio] 여러 파일 중 하나만 실행하기 (0) | 2021.04.15 |
[Python] print로 함수를 출력했을 때의 결과? print(function()) (0) | 2020.09.27 |
[Visual Studio]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(0) | 2020.09.25 |